티스토리 뷰

반응형

등기부등본 보는법 문구와 가상 등기부등본 이미지

사회초년생을 위한 부동산 등기부등본 확인법 완전정리

부동산 거래를 처음 해보는 사회초년생이라면 '등기부등본'이라는 용어부터 낯설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. 하지만 이 서류는 우리가 계약하는 부동산이 안전한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가장 중요한 공식 문서입니다. 오늘은 생애 첫 등기부등본을 열람할 때 어떤 순서로 확인해야 하고, 어떤 항목에 주의해야 하는지를 아주 쉽게 알려드릴게요!

 

 

1. 등기부등본의 기본 구성 이해하기

  • 표제부: 주소, 구조, 면적 등 부동산의 기본 정보
  • 갑구: 소유권 관련 정보 (소유자, 이전 이력, 가압류 등)
  • 을구: 금융기관과 관련된 권리사항 (근저당, 전세권 등)

 

계약서와 악수하는 모습아파트 전경

 

2. 표제부 확인 – 내가 보려는 부동산이 맞는가?

  • 주소 및 지번이 정확히 일치하는지
  • 건물의 구조(예: 철근콘크리트, 벽돌조 등)
  • 면적과 용도(아파트, 다가구주택 등)

 

3. 갑구 확인 – 실제 소유자는 누구인가?

  • 현재 소유자의 이름
  • 소유권 이전 일자 및 사유
  • 가압류, 경매, 가처분 기록

공동소유일 경우, 계약 시 모든 소유자의 동의가 필요합니다.

 

 

 

4. 을구 확인 – 근저당, 전세권은 위험신호

  • 근저당권: 은행이 설정한 담보로 경매 위험이 있음
  • 설정 금액: 실제 대출보다 더 크게 잡는 경우 많음
  • 말소 여부: 말소등기까지 확인해야 효력 소멸
  • 전세권 존재 여부: 기존 세입자가 있는지 확인 필요

 

5. 초년생을 위한 실전 체크리스트

체크 항목 이유
☐ 주소/면적 확인 다른 부동산일 수 있음
☐ 소유자 일치 여부 계약 상대가 진짜 주인인지
☐ 가압류/경매 유무 거래 위험도 판단
☐ 근저당 설정 여부 은행 담보 여부 확인
☐ 전세권 존재 여부 실제 입주 가능 여부

 

6. 등기부등본 발급 방법

 

7. 꼭 기억할 실전 팁

  • 계약 당사자는 반드시 등기부상의 소유자여야 합니다.
  • 근저당은 말소등기까지 확인해야 진짜로 없어지는 것입니다.
  • 등기부등본은 계약 직전에 최신으로 확인하는 것이 안전합니다.

 

부동산 거래, 첫 단추부터 정확하게!

생애 첫 부동산 거래는 누구에게나 떨리는 경험입니다. 하지만 등기부등본만 잘 확인해도 큰 사기나 손해를 막을 수 있는 강력한 무기가 됩니다. 이제부터는 용기 있게 등기부등본을 꺼내 읽어보세요!

반응형